제도 설계에서의 정합성과 정책 연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화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7-26 19:02본문
구디마사지 둘째, 가상자산사업자(VASP) 등록을 통한 규제 체계 편입이 필수다. 지갑 발급, 송금, 보관, 교환 등 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사업자는 모두 가상자산사업자(VASP)로 등록되어야 하며, 고객확인의무, 의심거래보고, 트래블 룰 등 권고사항을 이행하도록 명문화해야 한다.
구디역마사지 셋째, 기술 기반 규제를 병행해야 한다. 블록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고객확인의무 인증이 완료된 지갑 주소만이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미등록 지갑에 대한 송금 차단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화이트리스트 기반 지갑 인증 시스템'을 도입해 미확인 지갑과의 상호작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역외 발행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국내 유통 요건을 명확히 해야 한다. 해외 발행인이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유통하거나 거래소를 통해 환전하는 경우 상환보증 의무, 국내 준비자산 보유, AML 체계 증명 등을 전제로 유통을 허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스테이블코인의 법제화는 단지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는 통화정책, 금융안정, 소비자 보호, 국가 경쟁력 확보 등 광범위한 정책 목표와 연계된 사안이다. 따라서 금융정보분석원(FIU)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거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이상거래 탐지시스템(FDS)을 고도화하여 실시간 추적과 의심거래 자동보고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한국은행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정책과의 조율이 필요하다.